혹시 시판화식 급여하시려는 분들은...

장금
2023-12-04

화식이나 생식이 좋다는 정보를 접하시고 "시판화식이면 어련히 영양구성 잘 해서 나올까"라는 생각에 제대로 된 검증 없이 구매해서 주식으로 급여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신데 - 절대로 그러지 마세요. 아이들 나중에 큰 병 날 수도 있습니다. 시판 화식 중에 제대로 된 레시피 없이 대충 만들고는 "AAFCO 기준을 준수한다"느니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다"느니하는 광고문구로 보호자들을 현혹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일례로 모 화식을 예로 들면 "신장, 췌장을 보호하기 위한 저단백 저지방 식단"이라는 말도 안되는 마케팅 구호를 내걸고 있는데 - 백번 양보해서 이 말이 사실이라고 해도 실제 수치 계산을 해 본 결과 지방 함량을 터무니없이 낮춰놓은데다(췌장관리 처방식이라고 해도 최소한 최저 기준은 맞춰줘야합니다) 기본적인 인 수치조자 미달된 제품이더군요. (어느 제품인지는 묻지 말아주세요. 괜한 분란 만들고 싶지 않습니다)

별도의 보충제가 추가되지 않은 화식들은 칼슘-인 함량 표기 의무가 없기에 아예 누락시킨 경우들도 자주 보이는데 실제로 들여다보면 "도대체 이 재료로 어떻게 필수영양소를 맞출 수 있지?"라는 의문이 드는 제품들이 부지기수입니다. (기본적으로 칼슘 공급원이 있어야 하는데 그 재료조차 없는 제품도 많아요)

그렇기에 시판 화식 구매하실 때는 어떻게보면 건사료 구매할 때보다 더 신중을 기하셔야 합니다. 대다수의 업체들이 소규모인데다 충분한 연구인력 없이 대충 만드는 곳이 넘쳐나고 있고 급속히 커지는 펫비지니스 마켓에 편승하여 우후죽순처럼 난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니 선택하실 때는 상세영양정보를 반드시 검증해보고 구매하도록 하세요.

댓글 13조회수 1,404

먹거리 베스트

더보기

먹거리

강아지 사료 추천해주세요 저희 강아지가 고기류,해산물,조개류 알레르기가 있어요 심지어 다이어트까지 병원에서 신경쓰라고 하셔서 칼로리는 키로당 2000칼로리 미만으로 생각하고있어요 가격은 키로당 2만원 미만으로 생각하고있어요 우리 아이 사료 찾는 것좀 도와주세요!

댓글 2조회수 776

먹거리

생식 먹여도 되나요 5키로 좀 안되는 치와와인데 생식 먹어보려고 하고있거든요 근데 생식도 공부를 많이 하고 먹여야 된다는데 저는 일단 시켜놨거든요 봄봄이라는 곳에서 맞춤생식으로.. 근데 뭘 공부하는 건가요?.. 캥거루고기에 무슨 신장이랑 식이섬유 세트로 샀는데 그냥 이조합대로 주면 되는건가요?? 맞춤생식이라기에 걍 그대로 주면되나 해서요.. 그리고 생식먹이면 식중독같은건 안걸리나요? 닭고기 생것도 추가로 한팩 시켰는데 살모넬라? 그런 균땜에 줘도 괜찮을가여?

댓글 27조회수 1.1k

먹거리

가수분해 간식 가수분해 간식 잘먹는거 있을까요.

댓글 3조회수 606

먹거리

사료추천부탁드려요 로얄캐닌하이포알러제닉 스몰독 급여 후 2주지났어요 좀 나아지더니 다시 눈물이 시작이예요ㅜㅜ 살이0,3그램 불었고 눈주변을 자주긁어요

댓글 2조회수 990

먹거리

스키너즈 사료 어떤가요? 먹이는 분들이 많이 안 계셔서 궁금하네요

댓글 0조회수 728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 멍냥보감에 오신것을 환영해요 *** 세상에서 가장 예쁜 반려동물을 자랑해 주세요! 사진, 동영상을 첨부할 수 있어요 2쨜 토이푸들 보리입니댱!

댓글 2조회수 670

자유게시판

큰 바위 얼굴 바람이 잘못했다

댓글 5조회수 507

가입인사

공주 이뻐해주세요^^~♡ *** 멍냥보감에 오신것을 환영해요 *** 세상에서 가장 예쁜 반려동물을 자랑해 주세요! 사진, 동영상을 첨부할 수 있어요 *** 멍냥보감에 오신것을 환영해요 *** 세상에서 가장 예쁜 반려동물을 자랑해 주세요! 사진, 동영상을 첨부할 수 있어요

댓글 3조회수 580

가입인사

안뇽하세요!!! 복순이라고 합니다!! 현재 10개월이구, 암컷 입니당!!!!! 잘 부탁드려용♡♡

댓글 3조회수 625

유머게시판

콜라의 망한 사진 올리기 5개월 콜라예용

댓글 2조회수 619

먹거리 다른 글

먹거리

고단백이 좋은 사료의 기준이 될 수 있을까? 간혹 고단백이 프리미엄 사료의 기준점인 것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데 과연 단백질 조성이 높다고 모두 좋은 사료가 될 수 있을까요? 일단 단백질이 왜 필요한가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단백질은 수많은 아미노산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아미노산의 조합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단백질이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이 아미노산 중 일부는 생체 구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가 됩니다. 즉, 사람이건 동물이건, 단백질 섭취가 필요한 것은 이 "필수 아미노산"을 섭취하기 위한 것이지요. 그렇다면 과연 "고단백 제품 = 이러한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제품"이라고 단정지을 수 있을까요? 2008년 전 세계사료시장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멜라민 사료 파동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산 원료에 단백질은 높아보이게 하기 위해서 독성단백질인 멜라민(단백질은 좋은 단백질도 있지만 독성 단백질도 있습니다)을 첨가해서 많은 반려동물이 급성 신부전에 걸려 사망한 사건이었지요. 즉, 중요한 것은 "고단백" 그 자체가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것인가 - 그리고 "균형잡혀서 잘 들어가 있는가"라는 점이라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AAFCO의 문서에는 이 필수 아미노산의 필요 요구량에 대해서 분명히 명기가 되어 있습니다. (1번 그림 참조)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시중에 유통되는 대다수의 사료들중 이러한 필수 아미노산에 대한 함량 정보를 공개하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것이 현실입니다. 지난 글에서 "듣보잡 프리미엄 사료를 급여하느니 차라리 로얄캐닌을 급여하는 것이 낫다"라고 말씀드린 이유 중의 하나가 여기에 있습니다. 적어도 로얄캐닌과 같은 경우는 필수 아미노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필요한 영양소 정보가 잘 공개되어 있거든요. (2번 그림 참조. 로얄캐닌 미니 어덜트의 예) 아울러, 사료의 성분에 있어서도 생각을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에 따라 크게 세 종류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 완전단백질 - 필수 아미노산이 표준량 이상 균형잡혀 들어있는 단백질군입니다. 젤라틴을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성 단백질이 이 군에 속합니다. 사료를 선택할 때 가급적 "신선한 육류가 풍부한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육류, 가금류, 생선, 계란 등이 있습니다. 2. 부분완전단백질 - 필수 아미노산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양이 부족하거나 편중되어 존재하는 단백질입니다. 주로 견과류나 대두류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3. 불완전단백질 - 필수 아미노산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양이 매우 적은 재료들입니다. 대두를 제외한 콩류나 곡물류가 이쪽에 속합니다. 흔히 "콩밥"이나 "곡물밥" 같은 제품들을 피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사료를 선택하는 기준도 분명해집니다. "가급적 영양성분공개가 잘 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자 / 그게 힘들면 적어도 풍부한 동물성 재료(개인적으로는 적어도 50% 이상은 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단, 이게 단백질 비율인 "조단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가 들어간 제품을 선택하자" 모쪼록 세상 모든 멈머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기원합니다. 추신 : 간혹 곤충 사료에 대해서 문의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유감스럽게도 충분한 자료가 없는지라 분석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입니다. 국내 사료사를 포함해서 몇 군데 자료를 요청해보기도 했지만 회신이 없더군요. 혹시 관련 자료 있으신 분들은 알려주시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0조회수 0

먹거리

개 껌에 대한 짤막한 이야기 이 글은 개 껌을 급여하는 것이 좋다, 혹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취지로 쓴 것이 아닙니다. 다만, 개 껌을 급여하는데 있어 이런 부분도 한 번 정도는 생각하시면서 급여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작성한 글이니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아이들 구강 관리에 관심을 가지시면서 개 껌 종류에 대한 관심도 같이 증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양치를 극혐하는 아이들의 경우 구강관리가 참 힘들기에 이런 보조적인 제품들의 도움이라도 받고자하는 분들이 제법 계신 것이 사실이겠지요. (그래서 저는 가급적이면 퍼피시기부터 칫솔질을 하는 버릇을 들여놓으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어떤 분은 "어차피 유치는 빠지는건데 일찍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는가"라고 말씀하시기도 하는데 - 틀린 말은 아닙니다만, 이른 시기에 칫솔질을 습관화시키지 않으면 나중에 아이가 거부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기본적으로 아이들은 자신의 머리 부근으로 무엇인가 다가오는것을 싫어합니다.) 그런데 이 개 껌을 급여하시면서 몇가지 정도 생각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 기왕이면 VOHC 인증 받은 제품을 선택하세요. Veterinary Oral Health Council(동물구강건강협회)는 실질적으로 동물들의 구강건강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가지는 제품을 선별하여 인증을 하고 있고 그 리스트를 홈페이지에 공지하고 있습니다. https://vohc.org/accepted-products/ 해당 리스트에 있는 제품들은 적어도 구강 플라그 형성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인정된 제품이니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개 껌의 대부분은 탄수화물 덩어리이고 의외로 열량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세요. 시중에 유통되는 모 유명 개껌의 영양성분표를 잠시 들여다보겠습니다. 조단백 30% 이상 / 조지방 5.5% 이상 / 조섬유 6%이하 / 조회분 6% 이하 결과적으로 50%이상이 탄수화물 덩어리입니다. 그럼 열량은 낮을까요? 해당 제품의 가장 작은 사이즈의 열량을 대략 계산해보니 개당 10kcal 정도로 계산되고 장금양 기준 하루 권장 간식열량의 근 40%를 개 껌 한 조각이 차지하더군요. (아침 저녁으로 두 조각 급여한다면 다른 간식은 거의 먹지 말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참고로 간식 급여량은 하루 섭취 열량의 10%정도가 되는 것이 좋습니다) 3. 개 껌은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입니다. 저의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습니다만 아이들의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의 경계면에 발생하는 치석을 조심해야 합니다. 그런데 개 껌류는 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청소해주는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즉, 양치질을 잘 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해주시길 바랍니다. 모쪼록 세상의 모든 강아지들이 새하얀 건치를 가지고 무병장수하기를 바랍니다.

댓글 0조회수 0

먹거리

강아지 오메가3 선택 가이드 아이들 건강을 위해서 오메가3를 급여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신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괜챦은 오메가3를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서 한 번 적어볼까 합니다. 1. 괜챦은 원료 제조사인가 확인하세요. 세계적으로 괜챦은 오메가3 오일을 공급하는 회사는 제한적입니다. KD 파마 / 알래스카 오메가 / 솔루텍스 / GC 리버 / 폴라리스 / 노르웨이 EPAX 등~ 적어도 원재료 공급사만 확인해도 많은 제품들이 걸러질 것입니다. 만일 원오일 제조사가 명기되어있지 않은 제품이라면 제조사에 연락해서 해당 원료가 IFOS나 GOED 인증을 받은 제품인지만이라도 확인하세요. 말꼬리 길게 돌리며 이상한 소리 하면 그냥 거르시면 됩니다. 2. 실질적인 순도를 확인하세요. 오메가3에서 실질적으로 중요한 성분은 DHA와 EPA 성분입니다. 이 두 성분의 합의 함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함량이 낮다는 이야기는 불필요한 지방을 섭취한다는 것과 동일한 이야기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전체 질량 대비 70~80% 이상은 되는 제품을 추천합니다. 한가지 주의하실 부분이 있는데 - 일부 제품들은 매우 고질적인 라벨 가리기(눈가리고 아웅하기)를 하는 제품이 있다는 점입니다. 아래 두 가지 함량 표기를 잘 보시길 바랍니다. <제품 A> 전체 지방량 - 250 mg EPA+DHA - 200 mg <제품 B> 전체 오메가3 - 230 mg EPA+DHA - 200mg 얼핏 보아서는 B제품의 순도가 더 높아보이죠? 그런데 이 제품은 함정이 하나 있습니다. "전체 오메가3"의 양만 적어놓았을 뿐, 전체 지방의 양은 적혀있지 않다는 점이죠. 그럼 정제를 아주 잘 해서 오메가3만 모아놓았고 그 중 EPA+DHA만 200mg이니 아주 좋은 제품일까요? 실제로 판매되는 제품이기에 실제로 구매해서 공 컨테이너를 제외한 약제의 실 중량을 체크해 본 결과 실제 내용물이 대략 300mg이었으며 결과적으로 70mg의 부가적인 "무엇인가가" 들어있고 실제 순도는 A제품보다 떨어진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습니다. (관련해서 해당 업체에 문의를 해 보았습니다만.... 이렇다할 충분한 답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표시 기준이 다르다는 이해가 안가는 해명만 하더군요) 3. 기왕이면 캡슐형 / 더 좋은건 개별포장 오메가3는 지방산이기에 산패가 잘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산패된 오메가3는 섭취하지 않은 것만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캡슐형으로 외부 공기로부터 밀폐된 형태의 제품을 선택하실 것을 권해드리고 싶고, 블리스터 개별포장된 제품이 좀 더 좋습니다. 4. 체중에 맞는 용량 선택 사실, 오메가3의 복용 가능량은 EPA+DHA 기준, 체중 kg당 50~270 mg으로 범위가 꽤 넓은 편에 속하기는 합니다. 다만, 대부분의 경우 대략 80~100 mg / kg, day를 권장하고 있으니 이에 기준하여 적당한 용량의 오메가3를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그래서 어떤 제품이 좋을까? 조금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추천해보자면 초소형견 - 묘견서(도기넛) 미니, 조공 미니, 아이누 소형견 - 닥터레이, 묘견서(도기넛), 조공 중형견 - 레카덤 대형견 - 사람먹는 제품 중 적당한 걸로... 햇살이네 오메가3 가성비 좋아요. (상대적으로 덜 유명한 노르웨이 EPAX 오일 사용하는데 순도는 충분히 높습니다) 꽤나 유명한 CGN 오메가 800도 개별포장 아닌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나쁘지 않고요. 좀 비싼 제품도 괜챦다면 엔젯 오리진 알래스카 오메가 제품 좋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나눠먹으세요. ^^;;) 물론 이 외의 제품 중에서도 본인 기준에 잘 맞는 제품이라면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댓글 0조회수 0

먹거리

강아지 사료의 "콩"의 위험성??? 2018년 FDA는 "그레인프리 사료를 급여한 일부 견종의 강아지에서 후천성 확장심근병증(DCM)의 발병이 보고되었다"라는 발표를 하여 보호자들을 발칵 뒤집어놓은 일이 있었습니다. 이전까지 사료에 들어가는 그레인(정확하게는 글루텐 성분)이 알레르기나 불내증을 불러올 수 있기에 이를 제거한 식단이 더 좋다는 마케팅에 현혹되었던 소비자 입장에서는 심한 배신감을 불러오기에 충분한 뉴스였지요. 덕분에 분명한 과학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은채, "그레인프리는 해롭다"라고 생각하는 분들까지 생겨났습니다. (덕분에 많은 사료사들이 "로우그레인"이니 "앤시스트럴 그레인"이니 "에인션트 그레인"이니 하는 곡물사료를 앞다두어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참~ 무슨 아이러니인지 모르겠어요) 그런데 이후 FDA의 스탠스가 묘하게 바뀌다가 최근에 와서는 "그레인프리 사료와 DCM의 명확한 연관관계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며 보다 명확한 추가보고가 되지 않는 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완전히 한 발 물러서버리는 태도를 취했습니다. (2022년 12월) https://www.fda.gov/animal-veterinary/outbreaks-and-advisories/fda-investigation-potential-link-between-certain-diets-and-canine-dilated-cardiomyopathy 하지만, 아직도 그레인프리 사료에 포함된 "콩"과 관련된 불안감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있기에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가 발표된 논문이 있어 가지고 와 봅니다. 내용이 좀 방대하기에 결론부분만 요약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원문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thesciencedog.com/2022/04/06/the-disconnection-between-grain-free-foods-and-dcm/ * 결과 - 각 병원들에서 수집된 DCM 사례는 68,000 건이었으며 2011~2019년까지 DCM 증가의 폭은 두드러지지 않았음 - 반면 동기간동안 그레인프리 사료의 판매 증가율은 500% 이상이었음 - DCM 사례에 포함된 하위그룹 중 믹스견들의 경우 약간의 증가를 보이기는 했으나 그레인프리 사료와의 상관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음 * 결론 - DCM은 유전적 요소, 개체의 크기, 신진대사율, 나이, 과체중상태 등 다양한 요소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질병임. 물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타우린 농도의 항상성의 변화가 영향을 미칠 수 있기도 함 (후술) - 그레인프리 식단에 포함된 콩, 렌틸, 감자 등과 같은 성분이 직접적으로 DCM을 유발한다는 결과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혈중 타우린 농도에도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음. 다만, 담즙산 배출 농도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장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 발효과정, 그리고 타우린 항상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있음.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DCM을 유발한다는 증거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함 - 적어도 지난 12년간 그레인프리 식단의 폭발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DCM의 원인이라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아볼 수는 없음 (FDA의 발표내용과 일치) ----- 물론 이것이 콩을 둘러싼 의구심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만, 적어도 학술적으로는 유의미한 관계성이 아직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보시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0조회수 0
미호아빠미호아빠
화식은 아직 시작하기가 두려워요 ㅠ
2023-12-04
좋아요 0
미호아빠미호아빠
소비자(보호자)가 신경쓸게 훨씬 더 많은거 같아요 ㅠ
2023-12-04
좋아요 0
초코삼촌초코삼촌
화식은 비싸고 제일 좋은거라고 알고 있었는데 꼭 그렇지도 않군요 ㅠ
2023-12-04
좋아요 0
장금장금
의외로 값비싼 쓰레기들이 많아요.
2023-12-04
좋아요 0
유림유리가족유림유리가족
헉…
2023-12-04
좋아요 0
유림유리가족유림유리가족
@유림유리가족이거 완전 제이야기네요~ㅠㅠ 건사료보다 더 몸에 좋고 안전해서 사람이 먹을수있다는 말에… 혹했거든요… 장금님 글 안보면 큰일날뻔했어요…. 제품 공개는 절대 안하시나요?? ㅠㅠ 제가 구매하지는 않겠죠..
2023-12-04
좋아요 0
장금장금
@유림유리가족대신 영양소 공개 잘 되어있는 제품 알려드리겠습니다 레이앤이본, 아르밀, 룰루키친, 테이스트오브 네이쳐, 어니스트 밀, 어나더베이비, 도그델리, 도기넛, 씽크라이크펫, 아더마스 플래닛 정도 보세요.
2023-12-04
좋아요 5
유림유리가족유림유리가족
@장금감사합니다ㅜㅜ 바로 저장해뒀어요.. 그럼 화식을 주게된다면 사료는 어떻게 해야되나요? 치아건강때문에 화식만 먹으면 안좋다고하던데.. 사료랑 섞어주는지 아니면 날짜를 다르게 주면 될까요..?ㅠㅠ좋다고 해서 먹이고 싶은데 너무 제 욕심 같기도 하네요ㅠㅠㅠㅠㅠ
2023-12-04
좋아요 0
포포빠포포빠
@장금오 저도 저장해놓고 기억해놔야겠네요~ ㅎㅎ 블랙리스트는 공개 못 해도, 화이트리스트는 공개해주셨으니 ㅋ 감사합니다~
2023-12-04
좋아요 0
장금장금
@유림유리가족건사료를 먹건 화식을 먹건 중요한 것은 양치질 잘해주는 것입니다. 건사료 먹어야 치아에 좋다는건 거의 미신에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관련해서 제가 올린 글이 있으니 참조하세요) 양치질 신경써 주시고 간식으로 질긴 씹을거리(터키츄나 불리스틱) 주세요.
2023-12-04
좋아요 0
대박엄마대박엄마
화식은 무조건 제가 만들어서 먹입니다!!! 정확한 계산 안되더라도 제가 끓이고 갈고 조합해서 먹여야 탈나도 원인 찾기 쉬우니까요. 시판은 확인하기도 어렵고 비싸고 접근하기 힘들더라구요 ㅠ
2023-12-05
좋아요 0
유림유리가족유림유리가족
@장금이놈의 팔랑귀가~ 우리 아가들에게 악영향을 주는게 아닌지.. 갑자기 넘나 미안해지네요 ㅠㅠ.... 마시는양치질도있던데 당연히.. 말도안되는거겠죠..? 펫페어에서 많이들 구매하시길래 저도 샀거든요..
2023-12-06
좋아요 0
장금장금
@유림유리가족뭐~ 효과가 아주 없지는 않겠지만 그것으로 충분할지는 의문입니다. 사람도 가그린한다고 양치질 안하면 치아건강에 안좋쟎아요. ^^;;
2023-12-06
좋아요 0

혹시 시판화식 급여하시려는 분들은...

장금
2023-12-04

화식이나 생식이 좋다는 정보를 접하시고 "시판화식이면 어련히 영양구성 잘 해서 나올까"라는 생각에 제대로 된 검증 없이 구매해서 주식으로 급여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신데 - 절대로 그러지 마세요. 아이들 나중에 큰 병 날 수도 있습니다. 시판 화식 중에 제대로 된 레시피 없이 대충 만들고는 "AAFCO 기준을 준수한다"느니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다"느니하는 광고문구로 보호자들을 현혹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일례로 모 화식을 예로 들면 "신장, 췌장을 보호하기 위한 저단백 저지방 식단"이라는 말도 안되는 마케팅 구호를 내걸고 있는데 - 백번 양보해서 이 말이 사실이라고 해도 실제 수치 계산을 해 본 결과 지방 함량을 터무니없이 낮춰놓은데다(췌장관리 처방식이라고 해도 최소한 최저 기준은 맞춰줘야합니다) 기본적인 인 수치조자 미달된 제품이더군요. (어느 제품인지는 묻지 말아주세요. 괜한 분란 만들고 싶지 않습니다)

별도의 보충제가 추가되지 않은 화식들은 칼슘-인 함량 표기 의무가 없기에 아예 누락시킨 경우들도 자주 보이는데 실제로 들여다보면 "도대체 이 재료로 어떻게 필수영양소를 맞출 수 있지?"라는 의문이 드는 제품들이 부지기수입니다. (기본적으로 칼슘 공급원이 있어야 하는데 그 재료조차 없는 제품도 많아요)

그렇기에 시판 화식 구매하실 때는 어떻게보면 건사료 구매할 때보다 더 신중을 기하셔야 합니다. 대다수의 업체들이 소규모인데다 충분한 연구인력 없이 대충 만드는 곳이 넘쳐나고 있고 급속히 커지는 펫비지니스 마켓에 편승하여 우후죽순처럼 난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니 선택하실 때는 상세영양정보를 반드시 검증해보고 구매하도록 하세요.

13
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