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라벨 뜯어보기 - 영양성분분석 편

숏다리장금이
2024-03-30

이번 글은 좀 재미없는 숫자놀음을 많이 해야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숫자와 친하지 않은 분들은 손쉽게 "멍냥보감"이나 "샐러드펫"같은 어플을 사용해서 수치를 확인하셔도 됩니다. 다만, 일부 신규 사료들이나 이들 앱에 등록되지 않은 사료들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내용이니 너무 억지로 이해하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료 뒷면을 살펴보면 제품에 사용된 재료(ingradient) 리스트가 있고 영양 성분표(nutrition table 혹은 nutrition anlysis 등 다양한 용어로 명기되어 있습니다)가 나와 있습니다. 일단 배합사료로 등재된 사료의 경우는 의무적으로 단백질, 지방, 회분, 섬유질, 수분, 칼슘, 인의 비율을 명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Crude Protein - 27%
Crude Fat - 14%
Crude Ash - 11.5%
Crude Fiber - 4%
Moisture - 10%
Calcium - 1.4%
Phosphorus - 1%
Metabolize Energy - 4080 kcal / kg

M.E.(Metabolize Energy)가 필요한 이유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가 이 수치를 계산해 봐야 하는 이유는 이 사료가 AAFCO나 FEDIAF의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전부터 말씀드리지만 이들 협회에서 제시하는 기준은 절대로 "충분조건", 즉 이 기준에 부합하면 좋은 사료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필요조건", 즉, 제대로 된 사료라면 적어도 이 조건은 충족해야 한다라는 기준으로 이해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각 협회에서 제시하는 테이블을 보면 minimum requirement라고 분명히 명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에서는 이를 "충분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으니.... 참 미치고 팔짝 뛸 노릇입니다)

그럼 이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일단 첫 걸음은 수분을 제외한 수치로 변환해야 합니다. 수분은 아무 영양가가 없는 물질이니 제외하고 계산해야 하는 것이지요. 계산법은 간단합니다.

DM 조성비 = 조성비 / (1 - 수분함량)

예컨데 위 예시 수치의 경우 수분함량은 0.1(=10%) 이므로

Protein (DM) = 27% / (1-0.1) = 30%
Fat (DM) = 14% / (1-0.1) = 15.6%
Ash (DM) = 11.5% / (1-0.1) = 12.8%
Fiber (DM) = 4% / (1-0.1) = 4.4%
Calcium (DM) = 1.4% / (1-0.1) = 1.6%
Phosphorus (DM) = 1% / (1-0.1) = 1.1%
Metabolize Energy (DM) = 4,533 kcal / kg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실제로 중요한 것은 섭취량이지 비율이 아니라는 점이지요. 각 협회의 가이드라인에도 이를 반영하여 "4000 kcal / kg 기준으로 변환하여 비교할" 것을 명기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위 수치를 다시 4000에 맞추어주어야 하므로 4000 / Metabolize Energy (DM)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위의 경우 4000 / 4533) 이 경우

Protein = 30% * 4000 / 4533 = equiv. 26.5%
Fat = 15.6% * 4000 / 4533 = equiv. 13.8%
Ash = 12.8% * 4000 / 4533 = equiv. 11.3%
Fiber = 4.4% * 4000 / 4533 = equiv. 3.9%
Calcium = 1.6% * 4000 / 4533 = equiv. 1.41%
Phosphorus = 1% * 4000 / 4533 = equiv. 0.97%

와 같은 환산량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것을 AAFCO 기준이나 FEDIAF 기준과 비교하면 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 수치 외에 상세 영양소 수치를 간과하면 안되는데 - 이 부분은 추후에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1조회수 1,081

자유게시판 베스트

더보기

자유게시판

포도 꾸미기 2탄~ 포도의 사진을 꾸며주세요!!그럼 상품이 상품은 포도 사진~ 실망이면 죄송해요ㅠㅠ그래두 이 사진을 꾸며주세여!

댓글 23조회수 768

자유게시판

현상수배 만들어드려요 ! ! 요즘 Q&A 도 그렇구.. 댓글이 많이 안달랴서 이벤트 합니다! 반려동물 사진 보내주시면 서자누넣어서 현상수배 포스터 만들어드려요! ! 댓글 안달리면 좀 민밍쓰하니까 많이 달이주세요 ㅠㅡㅠ

댓글 18조회수 1.7k

자유게시판

강아지 고양이평가해 주겠습니다~많이 참여부탁드려요~많이도 돼요~ 강아지 평가 해드릴게요~ 귀여운 강쥐 보고싶네요ㅠㅠ 많은 참여부탁드려요~♡

댓글 44조회수 1.9k

자유게시판

25.06.20생일 시루입니다 정보교환해용 처음 강아지 키우는 시루엄마에용 아직 몰라서 열심히 제품,교육 등 공부중인데 꿀팁 공유해주시면 너무 감사해용 인스타도 만들어서 맞팔하고 소통해요!!🥰

댓글 14조회수 507

자유게시판

크림이 아가시절부터 현재까지의 크림이 ♥ 2024년5월13일~현재 ♥ 너무 작고 소중해서 애지중지 오냐오냐 키웠었는데.. 너무 오냐오냐 키워서 그런지 완전 제 껌딱지가 됐네요..하하😅 그래도 너무 사랑스러운 크리미 ♥ 지금까지 잔병치레 없이 건강하게 커줘서 너무 고맙고 감사하답니다♥

댓글 12조회수 506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소형견

유치원 허그 유치원에서 뉘집 강아지를 계속 껴안고 있는거야

댓글 4조회수 505

당첨후기

우와! 처음으로 당첨됐어욤ㅎㅎ 작년에 가입했는데 한번도 당첨이 안되서 '당첨 운이 없나보다~' 생각했었는데 드디어 저두 당첨됐어욥!ㅎㅎ 좀 시원해지면 설탕이랑 산책후 맛있게 먹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8조회수 919

사료추천

비숑 심한 피부 알러지(사료추천) 비숑 5살이구요 전체적으로 피부 알러지가 너무 심해서 작성하게됬습니다 도움 부탁드릴께요ㅠㅠㅠ 애기때 눈물이 심했어서 여러 병원 처방식 먹이다가 1. 나우 스몰브리드 어덜트로 잡혀서 한 2년정도 먹였는데 사료에 내성이 생긴건지 어느순간 다시 눈물이 터져서 갈색털로 착색이 됬어요 그 다음으로는 2. 몬지 하이포알러제닉 으로 2년정도 먹였는데 귀 자체 피부는 괜찮은데 안에서 갈색 귀지가 나오는 상황이 지속되고 등줄기 피부가 농피증처럼 올라와서 이번에 마음먹고 알러지 체크를 위해 3. 카르나4 이지츄 먹였다가 이거는 피부도 긁고 설사를 너무해서 4. 벨칸도 연어로 먹였는데 이거는 갈색 귀지 나오던건 사라지고 눈물이 심하게 터졌어요 그 다음으로는 5. 벨칸도 오리 현재 급여중인데 등줄기 피부나 발사탕, 눈물이런건 거의 잡히고 괜찮았는데 갈색 귀지 나오던 왼쪽귀말고 이번엔 반대편이 아예 빨갛게 붓고 각질이 생기면서 심하게 긁어서 귀털이 뭉텅이로 엉켜서 빠지고 그러네요 ... 알러지검사도 정확치 않고 가수분해사료는 좀 시간 지나면 피부트러블이 올라오고 단백질 사료는 알러지가 올라오는거같은 상황이에요ㅠㅠㅠ 제발 도움 부탁드립니다 ! ㅠㅠㅠ

댓글 3조회수 1.1k

유머게시판

또리 머리 어디 있게요~? 조용해 보니 또리 머리가🤣🤣 불러도 대답없는 또리 왜 이러고 있을까요?요즘들어 쇼파 밑으로 몸이나 머리가 잘 들어가 있어요😅😅

댓글 6조회수 1.6k

육아Q&A

둘째 입양 고민중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첫째 강아지가 5개월 됐고 성격은 mbti 로는 e성향이에요 장난끼많고 노는거 좋아하고 사람이나 강아지한테 먼저 다가가고 저번에는 길에 앉아있은 고양이한에 다가가다가 냥냥펀치 맞았어요 ㅋㅋ 그리고 짖음이 거의 없습니다 낑낑대는건해도 안짖더라구요 손이랑 옷을 좀 물긴 하는데 세게 물지는 않고 놀아달라고, 이갈이 시즌이라 그런것 같아요 .. 미용맡겼을때에 예민한편이 아니라고 했었습니다 ! 첫째가 너무 예뻐서 둘째도 입양 고민중인데 괜찮을까요 ? ㅠ 둘이 같이 잘 지냈으면해서 둘째 성격을 고려해서 입양하려구요 ㅠㅠ 첫째가 많이 싫어할까요 ? 다견 견주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

댓글 7조회수 2.3k

자유게시판 다른 글

자유게시판

사료 라벨 뜯어보기 - 원재료편 이전 게시글에서 저는 "동물성 재료가 풍부한 사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반론적인 이야기일뿐 식이 조절이 필요한 아이들(특정 질병이 있는 경우)은 이에 맞는 처방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어쨌건, 그렇다면 사료에 들어있는 동물성 재료의 량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물론 가장 좋은 것은 사료사에서 자신들 사료에 들어 있는 동물성 재료의 비율을 표기하는 것이겠습니다. 예컨데 고단백 사료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는 오리젠은 85%의 동물성 재료를 사용한다고 명기하고 있으며 벨칸도 마스터크래프트와 같은 경우 80%의 원육을 사용한다고 명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든 사료가 이렇게 친절하게 자사 사료의 동물성 재료 비율을 공개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경우는 일단 원재료 리스트를 한 번 보도록 합시다. Fresh Chicken (16%), Dried Turkey (14%), Dried Chicken (14%), Fresh Salmon, (13%), Cassava, Sweet Potato, Pure Chicken Oil (8%), Whole Egg Powder (6%), Dried Salmon (4%), Salmon Oil (2%), ... 그나마 양심적인 회사라면 위와 같이 사용된 재료의 비율을 비교적 상세하게 명기해 줄 것입니다. 이런 회사들은 그래도 나름 신뢰할만한 곳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물론 이 외에도 회사의 연혁이나 리콜 경력, 공장 상태 등도 따져봐야 하겠습니다만~ 일반 소비자가 여기까지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함량 명기가 안된 경우는 어떻게 파악해보아야 할까요? Ground corn, meat meal, wheat flour, poultry by-product meal, chicken fat (preserved with mixed tocopherols), corn gluten meal, dried beet pulp, ... 이미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사료의 원재료는 가장 많이 사용한 재료부터 나열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가급적이면 제1재료로 동물성 원료를 사용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위의 예시는 개인적인 기준에서 피하면 좋을 사료의 예입니다) 그런데 일부 회사는 이 규정을 "재료 쪼개기" 기법을 사용해서 회피하는 경우도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Chicken, Yellow Peas, Red Lentils, Green Bean, Pinto Bean, Chicken Fat, Chicken Flavor,... 위 예시를 보면 얼핏 제1재료가 닭이기에 괜챦아보입니다. 그런데 그 뒤로 줄줄이 콩이 나열되어 있네요? 예컨데 닭을 30% 넣고 뒤로 줄줄이 콩을 15%정도 넣었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콩 함량이 60%가 넘는 콩밥 수준의 사료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설마 그 정도까지 넣었을까..."라고요? 일반적으로 투입되는 지방(Fat 혹은 Oil)의 함량은 10%가 채 안되는 것을 감안하고 향료의 함량은 극히 적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위에 예시된 사료는 콩 함량이 무척 높다는 점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함량 명기가 제대로 되지 않은 사료에서, 콩이 종류별로 세세히 명기되어 있는 제품이 있다면 일단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한 줄 요약 : 1재료는 동물성 원료로 - 그리고 재료 쪼개기를 조심합시다.

댓글 0조회수 0
✨타니맘✨✨타니맘✨
AAFCO 충족 여부만 봤는데~ 어려운 숫자를 통해서 나오는 것이였군용! 저는 AAFCO가 무엇인지 안 지도 얼마 안되었는데~ 장금이님 대단하십니다👍
2024-03-30
좋아요 0

사료 라벨 뜯어보기 - 영양성분분석 편

숏다리장금이
2024-03-30

이번 글은 좀 재미없는 숫자놀음을 많이 해야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숫자와 친하지 않은 분들은 손쉽게 "멍냥보감"이나 "샐러드펫"같은 어플을 사용해서 수치를 확인하셔도 됩니다. 다만, 일부 신규 사료들이나 이들 앱에 등록되지 않은 사료들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내용이니 너무 억지로 이해하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료 뒷면을 살펴보면 제품에 사용된 재료(ingradient) 리스트가 있고 영양 성분표(nutrition table 혹은 nutrition anlysis 등 다양한 용어로 명기되어 있습니다)가 나와 있습니다. 일단 배합사료로 등재된 사료의 경우는 의무적으로 단백질, 지방, 회분, 섬유질, 수분, 칼슘, 인의 비율을 명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Crude Protein - 27%
Crude Fat - 14%
Crude Ash - 11.5%
Crude Fiber - 4%
Moisture - 10%
Calcium - 1.4%
Phosphorus - 1%
Metabolize Energy - 4080 kcal / kg

M.E.(Metabolize Energy)가 필요한 이유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가 이 수치를 계산해 봐야 하는 이유는 이 사료가 AAFCO나 FEDIAF의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전부터 말씀드리지만 이들 협회에서 제시하는 기준은 절대로 "충분조건", 즉 이 기준에 부합하면 좋은 사료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필요조건", 즉, 제대로 된 사료라면 적어도 이 조건은 충족해야 한다라는 기준으로 이해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각 협회에서 제시하는 테이블을 보면 minimum requirement라고 분명히 명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에서는 이를 "충분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으니.... 참 미치고 팔짝 뛸 노릇입니다)

그럼 이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일단 첫 걸음은 수분을 제외한 수치로 변환해야 합니다. 수분은 아무 영양가가 없는 물질이니 제외하고 계산해야 하는 것이지요. 계산법은 간단합니다.

DM 조성비 = 조성비 / (1 - 수분함량)

예컨데 위 예시 수치의 경우 수분함량은 0.1(=10%) 이므로

Protein (DM) = 27% / (1-0.1) = 30%
Fat (DM) = 14% / (1-0.1) = 15.6%
Ash (DM) = 11.5% / (1-0.1) = 12.8%
Fiber (DM) = 4% / (1-0.1) = 4.4%
Calcium (DM) = 1.4% / (1-0.1) = 1.6%
Phosphorus (DM) = 1% / (1-0.1) = 1.1%
Metabolize Energy (DM) = 4,533 kcal / kg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실제로 중요한 것은 섭취량이지 비율이 아니라는 점이지요. 각 협회의 가이드라인에도 이를 반영하여 "4000 kcal / kg 기준으로 변환하여 비교할" 것을 명기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위 수치를 다시 4000에 맞추어주어야 하므로 4000 / Metabolize Energy (DM)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위의 경우 4000 / 4533) 이 경우

Protein = 30% * 4000 / 4533 = equiv. 26.5%
Fat = 15.6% * 4000 / 4533 = equiv. 13.8%
Ash = 12.8% * 4000 / 4533 = equiv. 11.3%
Fiber = 4.4% * 4000 / 4533 = equiv. 3.9%
Calcium = 1.6% * 4000 / 4533 = equiv. 1.41%
Phosphorus = 1% * 4000 / 4533 = equiv. 0.97%

와 같은 환산량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것을 AAFCO 기준이나 FEDIAF 기준과 비교하면 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 수치 외에 상세 영양소 수치를 간과하면 안되는데 - 이 부분은 추후에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1
1,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