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방식이 안맞으시는 분 잇나요?

견아라🐾
2025-07-13

저희는 애기가 말티푸인데 밥투정이 심해요

그래서 저는 시간 맞춰 그 시간에만 주고 안주고
차라리 조금 지나서 텐탈츄나
간식 엄청 엄청 작게 잘라서 노즈워크 해주거든요

근데 저희 엄마는 간식도 간식이지만 사료를 무한 공급이에요...
첫째가 자율급식 햇거든요
그래서 모든 개는 자율급식이 되는줄 알고 잇어요 ㅠㅠ
(어짜피 먹진 않아요..거들떠도 안봐요)

가족끼리 방식이 안맞으시는 분들 계실까요?

댓글 3조회수 404

자유게시판 베스트

더보기

자유게시판

퀴즈배틀

댓글 16조회수 366

자유게시판

멍냥보감 퀴즈배틀 넌센스 2문제를 푼것 같은 이 느낌...흠

댓글 16조회수 419

자유게시판

다들 나이계산 어떻게하시나요?? 포메 2017년 1월생 추정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태어난 날 부터 1살로해서 지금껏 9살로 알고있는데 만으로 계산 하는데가 많아서요 8살로 해야할까요? 이번에 사료바꿀때가 되어서 어덜트냐 시니어사료냐 고민이 많은데 먹이려는 나우사료 시니어는 만 9세부터더라구요.. 지금부터 먹여도될지 ㅠ

댓글 16조회수 3.3k

자유게시판

잠깐 산책.. 잠깐이라도 아침 저녁 산책했어요~염증이 생겨서 오랫동안은 못하고 잠깐이요~다이소 바구니~~🤣😍

댓글 8조회수 505

자유게시판

멍냥보감 퀴즈배틀 어제 퀴즈 문제 공유해줄실분???

댓글 18조회수 616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육아Q&A

2개월 푸들 1차 예방접종 후 분양 후 일주일 지나서 1차 예방접종 맞추고 왔어요!! 주사 맞은지 3시간 다되어 갑니다 조금 놀다가 잠들었는데 낑낑대며 일어나서 좀 만져보니 접종부위 통증이 있는 것같아요 (자세 바꿀때도 낑낑거림) 지금도 자다 낑낑거리다 반복하는데 괜찮은거겠죠..? 어느정도가 낑낑거림이 심한건지 가늠이 안가니까 걱정만되네요ㅠㅠㅠ + 코도 좀 마른 것 가터여ㅠㅠ

댓글 2조회수 523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잘부탁드려요

댓글 6조회수 717

육아Q&A

3개월 아기말티푸 미숙아 밥 못 주는 상황에 어제 올린 글처럼 병원에서 미숙아 아기라구 하셨구요 다름 아니라 요번주 수/목에 가족들이 시골갈 일이 생겨서 점심밥을 못 챙겨주게 되었는데 10g씩 네번 주려고 하는데, 두 번째 식사만 못 챙겨줄 것 같아서요ㅜ 첫번째 아침 밥때(오전 8시쯤) 차라리 20g을 주고, 저녁 6시쯤에 다시 10g-> 저녁 10시쯤 10g 이렇게 3번주는게 나을까요ㅜㅜ? 다른 방법 있다면 아시는 분 댓 부탁드립니다,, 어제 미숙아라고 들어서 걱정이네요,,ㅠ

댓글 4조회수 727

육아Q&A

발톱 뭘 잘라야하나요? 봐도 모르겠어요 발톱이 흰색도 있고 검정이랑 섞인것도있는데 어디까지 잘라야할지모르겠어요 특히 검정발톱은 신경이 어디까지인지모르겠네요 후레쉬를 비쳐봐도ㅠ

댓글 15조회수 931

유머게시판

나 몰래 머 먹는다고??!!!! 먹지마...... 나도줘ㅋㅋㅋㅋㅋ 아니구나;;;;💤💤 조금만 부스럭대도ㅋㅋ🤣🤣 비와서 속상한 보리씨☔☔

댓글 3조회수 724
또치_등장또치_등장
개인적인 생각인데, 사람처럼 '다른 육아방식'이 있는게 아니고 강아지는 '잘못된 육아방식'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제가 생각했을때 자율배식은 잘못된 육아방식이라고 생각하고요. 우선 강아지는 사람이 식단을 조절해주는게 가장 건강합니다. 알아서 잘먹는다고 생각하지만 착각이예요ㅠㅠ 1g 5g, 1분, 5분 단위 까지 정확히 맞출 필요는 없지만, 권장급여량, 규칙적인 시간에 맞춰 급여하는게 훨씬 건강해요. 사람도 마찬가지로 식단이 엄청 중요하잖아요 두번째로 사료급여를 통해 보호자와 공감합니다. "밥주는 사람을 좋아한다"라는 말이 있잖아요. 사람은 집에서 밥을 먹을 때 사람이라면 "누군가 나가서 돈벌어와서 이 식재료가 있는거구나", "누군가 요리를 해서 이걸 먹을 수 있구나" 등의 사고회로가 도는데, 강아지는 밥 주는 사람 = 밥 정도로 인식합니다. 자율급여가 아닌 제한급여로 보호자가 밥을 급여한다면 보호자가 있어야 밥을 먹을 수 있다는 자체를 인식하고, 보호자들은 그 생존에 필수적인 밥을 주는 존재들로 인식되기 때문에 강아지와의 관계에서 훨씬 좋습니다. 세 번째로 강아지의 만족도입니다. 강아지의 삶은 단조롭습니다. 강아지 삶을 보면, 보호자랑 시간보내기가 삶의 전부예요. 보호자랑 산책, 보호자가 주는 밥먹기, 보호자랑 놀기 등등. 삶에 즐거운 요소가 없기 때문에 '행복'하게 사는 강아지가 되려면 행복요소를 하나라도 더 만들어주는게 좋아요. 그래서 영양학적으로만 본다면 권장하지 않는 간식등을 주는겁니다. 그 간식 한두조각 먹어서 찌는 살보다, 그걸 먹음으로 인해 얻는 행복감의 크기가 더 크니까요. 밥도 마찬가지. 밥먹는 시간이 행복해야하는데 자율배식이면 '밥먹는 행복'을 알지 못합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지만 행복과 만족은 결핍에서 나와요. 들어보셨겠지만 건강한성견기준 48시간 굶어도 건강에 아무문제가 없습니다. 미국 논문중엔 (대형견 기준이긴합니다. 미국은 소형견 비율이 낮아서)밥을 하루에 한번 급여하는 강아지가 더 건강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2025-07-13
좋아요 0
또치_등장또치_등장
제한급여, 절대 강아지 자유를 뺏는게 아니고, 자율급여로 강아지가 더 행복하고 알아서 조절한다는건 잘못됐습니다. 라는 내용으로 설득해보세요
2025-07-13
좋아요 0
견아라🐾견아라🐾
@또치_등장제가 여러번 이렇게 하면 안됀다 애가 밥 먹게끔 하는거다 얘기 햇지만 배고프다잖아 벌받아! 너도 배고프면 싫잖아 얘는 말도 못하는데! 이러기만 합니다 ㅠㅠ
2025-07-15
좋아요 0

가족과 방식이 안맞으시는 분 잇나요?

견아라🐾
2025-07-13

저희는 애기가 말티푸인데 밥투정이 심해요

그래서 저는 시간 맞춰 그 시간에만 주고 안주고
차라리 조금 지나서 텐탈츄나
간식 엄청 엄청 작게 잘라서 노즈워크 해주거든요

근데 저희 엄마는 간식도 간식이지만 사료를 무한 공급이에요...
첫째가 자율급식 햇거든요
그래서 모든 개는 자율급식이 되는줄 알고 잇어요 ㅠㅠ
(어짜피 먹진 않아요..거들떠도 안봐요)

가족끼리 방식이 안맞으시는 분들 계실까요?

3
404